훈족 смотреть последние обновления за сегодня на .
훈족의 진짜 정체는 무엇일까요? 훈족은 흉노족의 후예였을까요? 훈족의 역사는 곧 흉노족의 역사인 것일까요? 우리나라도 혹시 훈족의 역사와 관련은 없을까요? #훈족 #유럽역사 #로마제국 지식원숭이 구독하기 🤍 [ 추천 영상 ] 유럽의 영원한 악몽 훈족의 왕 아틸라 🤍 매춘부에서 황후까지 동로마의 신데렐라 테오도라 🤍 서유럽의 아버지 프랑크족의 왕 카롤루스 대제 🤍 자료 출처 및 저자 00:14 ~ 00:21 출처 : 자작 저자 : User:MapMaster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2.5 1:28 ~ 1:34 출처 : 자작 저자 : Vikiçizer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4.0 1:49 ~ 2:02 출처 : This file has been extracted from another file: Topographic90deg N0E0.png 저자 : Background: Map created from DEMIS Mapserver, which are public domain. Koba-chan Drawings: पाटलिपुत्र (talk)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3.0-migrated 2:11 ~ 2:15 출처 : 자작 저자 : Karl Musser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2.5 5:11 ~ 5:10 출처 : 자작 저자 : 猫猫的日记本 (Cat's diary) 주소 : 🤍 History_Books_of_Three_Kingdoms_01_2012-12.JPG?uselang=ko 라이선스 : CC-BY-SA-3.0 6:23 ~ 6:30 출처 : 자작 저자 : User:MrBprints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4.0 6:30 ~ 6:37 출처 : Eske Willerslev 저자 : Mikal Schlosser 주소 : 🤍 라이선스 : CC-BY-3.0 6:46 ~ 6:53 출처 : 자작 저자 : A.Berger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3.0,2.5,2.0,1.0 7:05 ~ 7:11 출처 : 🤍 20magazine%20cover) 저자 : ESO/M. Kornmesser (photo displayed on the magazine cover) 주소 : 🤍 cover_displaying_an_artist%E2%80%99s_impression_of_Proxima_Centauri_b.jpg?uselang=ko 라이선스 : CC-BY-4.0 7:40 ~ 7:46 출처 : 자작 저자 : Anagoria 주소 : 🤍 BCrttembergisches_Landesmuseum_Stuttgart_anagoria.JPG?uselang=ko 라이선스 : CC-BY-3.0 7:59 ~ 8:08 출처 : self-made, photographed at the British Museum 저자 : Original photo by User:PHGCOM, contoured by myself पाटलिपुत्र (토론) 주소 : 🤍 460-479_CE.jpg?uselang=ko 라이선스 : CC-BY-SA-3.0 9:02 ~ 9:09 출처 : de.wikipedia에서 공용으로 옮겨왔습니다. 저자 : The original uploader was 독일어 위키백과의 Stw.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3.0-migrated 9:09 ~ 9:17 출처 : Own work 저자 : Bjoertvedt 주소 : 🤍 silver_buckles_IMG_1167.JPG 라이선스 : CC-BY-SA-4.0
#아틸라#훈족 훈제국 1,2편 통합편집본 (1편영상) 유럽세계사를 바꾼 훈족은 누구이고 그들은 어디서 왔을까요? 게르만족의 대이동을 촉발시키고, 연쇄적으로 서로마제국을 무너뜨리는 역사적사태까지 초래해 유럽사에 큰 소용돌이를 일으킨 주인공 훈족과 훈족의 영웅아틸라의 동로마침공까지. (2편영상) 사랑에 눈이 멀어 애인을 황제로 만들려는 황제의 여동생 호노리아의 이야기는 아틸라의 지배야욕의 발단이 됩니다. 당시 최고 문명국가였던 로마를 상대로 서로마의 절반을 달라는 대담성을 보인 아틸라의 최후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즐감하세요~ /참조/ 위키백과와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각색편집한 내용입니다. 영상에 사용된 지도는 참고용이며 지명이나 이름등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BGM ✔️Track - HOMI - Frost virus ✔️YouTube - 🤍 ✔️나눔뮤직 - 🤍 Track : TTRM - 웅장한 느낌의 곡 Music by TTRM (Titanrium) , 🤍 Promoted by 🤍 📢BGM ✔️Track - HOMI - Frost virus ✔️YouTube - 🤍 ✔️나눔뮤직 - 🤍 Track : TTRM - 웅장한 느낌의 곡 Music by TTRM (Titanrium) , 🤍 Promoted by 🤍 📢BGM ✔️Track - HOMI - Frost virus ✔️YouTube - 🤍 ✔️나눔뮤직 - 🤍 🤍 🤍 🤍 🤍
헝가리는 유럽의 아시아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헝가리인이 훈족의 후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사실일까요? 헝가리의 역사와 훈족의 역사에 대해 한 번 살펴볼까요? #훈족 #유럽역사 #아틸라 [ 추천 영상 ] 유럽의 영원한 악몽 훈족의 왕 아틸라 🤍 매춘부에서 황후까지 동로마의 신데렐라 테오도라 🤍 서유럽의 아버지 프랑크족의 왕 카롤루스 대제 🤍 자료 출처 00:26 ~ 00:28 출처 : The memorial titled "The history of clouds" The serial articles written by a former journalist, Han Unsa (한운사 韓雲史 1923~ )[ and published by JoongAng Ilbo 한운사구름의역사37:안익태 from 한국방송작가협회 Korean TV & Radio writers association Han Unsa had a interview with Ahn Eik-tai and the picture was taken at that time in 1955. Because according to the article, right after the interview, the journalist went to see a movie preview "Chunhangjeon" screened in 1955. Chunhangjeon Info 저자 : Wikimachine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2.5,2.0,1.0 / CC-BY-SA-3.0-migrated 01:10 ~ 01:14 출처 : 🤍 저자 : 주소 : 🤍 k2Pgyo6UHKbHbdL6XctULWQPq2 라이선스 :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CC BY 2.0 KR) 01:55 ~ 01:59 출처 : Dist of hu lang europe.png 저자 : Mutichou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3.0,2.5,2.0,1.0 03:07 ~ 03:15 출처 : Own work Sources of data: Topography: ETOPO 1 (public domain); Rivers and water bodies: Produced using Copernicus data and information funded by the European Union - EU-Hydro layers & USGS HydroSHEDS database Borders and towns: © OpenStreetMap contributors; Tool: The map is created with Octave scripts developed by Ikonact 저자 : Ikonact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4.0 03:34 ~ 03:39 출처 : This file was derived from: Blank map of Europe.svg: 저자 : Blank map of Europe.svg: maix¿? derivative work: Alphathon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4.0 03:45 ~ 03:56 출처 : Hungarian Wikipedia: w:hu:Image:Kalandozasok.jpg 저자 : hu:User:Csanády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3.0-migrated / CC-BY-SA-2.5 03:56 ~ 04:01 출처 : 자작 저자 : FlyingPC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3.0,2.5,2.0,1.0 06:33 ~ 06:44 출처 : 🤍 저자 : 🤍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4.0 06:44 ~ 06:53 출처 : 🤍 저자 : 🤍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4.0 09:02 ~ 09:12 출처 : 🤍 저자 : Lévai Gábor 주소 : 🤍 k%C3%A9p.jpg 라이선스 : CC-BY-SA-2.5
유럽인의 영원한 악몽, 훈족의 왕 아틸라 / 로마제국의 멸망과 훈족의 역사 흉노의 후예라고 알려져 있는 훈족은 어떻게 로마제국을 쳐들어갔을까요? 로마 제국은 어떻게 멸망했고 훈족의 역사는 어떻게 흘러갔을까요? 지식원숭이 구독하기 🤍 [ 추천 영상 ] 로마가 멸망한 진짜 이유 피할 수 없는 기후변화 🤍 매춘부에서 황후까지 동로마의 신데렐라 테오도라 🤍 서유럽의 아버지 프랑크족의 왕 카롤루스 대제 🤍 자료 출처 및 저자 1:35 ~ 1:38 출처 : based on a map by San Jose which was created with Generic Mapping Tools and ETOPO2 data (license: cc-by-sa-3.0) 저자 : Maximilian Dörrbecker (Chumwa) 주소 : 🤍 2:48 ~ 2:54 출처 No machine-readable source provided. Own work assumed (based on copyright claims). 저자 No machine-readable author provided. Neuceu assumed (based on copyright claims). 주소🤍 3:22 ~ 3:34 출처 : 자작 저자 : Marcok of it.wiki 주소 : 🤍 3:34 ~ 3:40 출처 German Wikipedia (The map has been created with the Generic Mapping Tools: 🤍 using one or more of these public-domain datasets for the relief) 저자 Captain Blood 주소: 🤍 #로마제국 #훈족 #유럽역사 #교황 #역사 #지식 #흉노 #몽골제국 #고대사 #무굴제국 #세계사
서기 370년 서방에 홀연히 출현한 훈족(Huns)! 그들은 그간 동방의 흉노에서 기원되었다고 별 의심 없이 상식처럼 이야기 되어 왔다. 과연 그것이 사실일지에 대한 학문적 탐구! #변두리역사 #흉노역사 #훈족역사
참고문헌 김호동,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사계절, 2016) 피터 B. 골든, 중앙아시아사(책과함께, 2021) 최현우, 중앙아시아 연구(상) (펴내기, 2003) 김병준, “『사기』 흉노열전의 ‘흉노 前史’ 기록 검토,” 중앙아시아연구 21권1호(2016),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참고 -패트릭 하워스/김훈, 『훈 족의 왕 아틸라』, 가람기획, 2002
훈족의 동∙서로마 침략의 역사를 아틸라와 교황 레오1세의 담판을 중심으로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아울러 고려시대에 담판으로 거란의 1차 침입을 저지한 서희장군의 이야기를 추가로 설명하였습니다. 대부분의 멘트는 [튀르크인이야기]와 [담판의 역사]를 요약한 것이며, 교황 레오1세를 설명하는 부분은 [교황의 역사]를 참고하였습니다. 아울러, 서희의 외교담판은 에듀윌의 [고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교재와 위키백과를 이용하였습니다. 참고문헌) - 튀르크인이야기. 이희철 - 담판의 역사. 함규진 - 교황의 역사. 호르스트 푸어만 - 처음읽는 터키사. 전국역사교사모임. - 고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에듀윌.
유럽 속의 아시아로 불리는 '헝가리' 헝가리 민요도 동양적인 분위기가 물씬~ 아시아권의 문화와 비슷한 점이 정말 많아~! Thank you for watching. If you like this video, please feel free to provide a fan subtitle in your own language. View more videos & informations ☞ ▶ official : 🤍 ▶ youtube : 🤍 ▶ facebook : 🤍 ▶ twitter : 🤍
#몽골여행 #흉노 #한몽연합 훈족과 흉노의 기원과 역사? 훈족은 어떻게 막강한 로마제국을 무너뜨렸을까? 한때 중국을 위협할만큼 세력이 강했던 흉노와 훈족은 어떤 관계일까? 몽골여행과 유목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길잡이 물건으로 돌아보는 이야기 여행 '유목의 전설' '당신에게 몽골' 저자의 직강
#아틸라#훈족 유럽세계사를 바꾼 훈족은 누구이고 그들은 어디서 왔을까요? 게르만족의 대이동을 촉발시키고, 연쇄적으로 서로마제국을 무너뜨리는 역사적사태까지 초래해 유럽사에 큰 소용돌이를 일으킨 주인공 훈족과 훈족의 영웅아틸라의 동로마침공까지 1편영상입니다. 즐감하세요~ /참조/ 위키백과와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각색편집한 내용입니다. 영상에 사용된 지도는 참고용이며 지명이나 이름등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BGM ✔️Track - HOMI - Frost virus ✔️YouTube - 🤍 ✔️나눔뮤직 - 🤍 Track : TTRM - 웅장한 느낌의 곡 Music by TTRM (Titanrium) , 🤍 Promoted by 🤍 🤍 🤍 🤍 🤍
광개토대왕이 북위 태조 도무제 탁발규였고 이분이 훈 제국의 지도자 아틸라로 훈족이 불가리아였고 이들이 바로 역사 속의 몽골이다.
훈족을 박살낸 유럽인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최후의 로마인이라고 불린 그는 로마의 역사 속에서 어떤 인물이었을까요? 훈족의 왕 아틸라는 어떻게 로마제국을 쑥대밭으로 만들었을까요? #로마제국 #훈족 #유럽역사 [ 추천 영상 ] 로마가 멸망한 진짜 이유 피할 수 없는 기후변화 🤍 매춘부에서 황후까지 동로마의 신데렐라 테오도라 🤍 서유럽의 아버지 프랑크족의 왕 카롤루스 대제 🤍 자료 출처 및 저자 0:42 ~ 0:56 출처 : 자작 저자 : Tataryn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4.0 1:46 ~ 1:57 출처 : 다음을 기초로 한 자작: BlankMap-Europe-v3.png 와 Roman empire 395.jpg 다음을 사용한 자신의 작품:: (2004년) The Collins Atlas of World History, 윌트셔주: HarperCollins, pp. 46−47 ISBN: 0-00-716640-0 저자 : 영어 위키백과의 Geuiwogbil 주소 : 🤍 라이선스 : ?? 2:06 ~ 2:16 출처 : 자작 저자 : User:MapMaster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2.5 3:46 ~ 3:50 / 9:49 ~ 9:57 출처 : 🤍 저자 : Tony Querrec (photo)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4.0 6:58 ~ 7:07 출처 : 자작 저자 : 자작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3.0-migrated 7:35 ~ 7:44 / 7:58 ~ 8:06 출처 : de.wikipedia에서 공용으로 옮겨왔습니다. 저자 : The original uploader was 독일어 위키백과의 Stw.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2.0, CC-BY-SA-3.0-migrated 9:36 ~ 9:38 출처 : 다음을 사용한 자신의 작품: GTOPO-30 Elevation Data by USGS 저자 : NordNordWest 주소 : 🤍 라이선스 : CC-BY-SA-3.0
왕망 정권이 무너진 후 흉노가 남흉노와 북흉노로 나뉘게 된 이유를 알아보고 남흉노가 후한에 입조한 과정과 북흉노가 후한에 대항하다가 서천하는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후 훈족의 성립과정도 간략히 언급하였습니다. 아울러, 월지족을 간략히 소개하였습니다. 참고문헌) -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김호동
- 신발견! 대당 고 김씨부인 묘명 우리는 문무왕비에서 투후 김일제를 신라왕족의 조상이라고 여기는 대목을 확인했다. 그런데 부산외대 권덕영 교수가 중국탁본을 조사하던 중 ‘대당 고 김씨부인 묘명’을 발견했다. 비문은 고향 신라를 떠나 조부 때부터 당나라에 정착해 살아온 김씨 부인의 생애을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이 비문에 문무왕비에 등장한 김일제가 김씨 집안의 조상으로 다시 등장한다. 신라 왕족뿐 아니라 귀족들도 김일제를 조상으로 여기고 있었던 것이다. 역사스페셜이 국내 언론 최초로 중국 서안의 비림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대당 고 김씨부인 묘비를 공개하고 이 비문에 담긴 역사적 진실을 추적한다. - 흉노 왕자, 투후 김일제 유라시아 초원지대를 주 무대로 활동했던 유목민족 흉노는 기원전 3세기 무렵 막강한 세력으로 성장하여 중국 대륙을 위협한다. 중국의 만리장성도 흉노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책이었다. 김일제는 바로 이 흉노의 왕자였다. 중국 사서에서도 그를 흉노라 언급하고 그 자신도 흉노임을 숨기지 않았다. 흉노임이 명백한 김일제를 신라인들은 왜 자꾸 자신의 조상으로 언급하는 것일까? - 명호개역과 고대국가의 성립 김씨로는 두 번째로 왕 위에 오른 내물마립간. 내물마립간 이후 소국에 불과했던 사로국이 고대 국가인 신라로 비약적 발전을 이룬다. 이때부터 김씨의 왕위세습이 이어졌다고 말해지는데 왕의 명칭도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 바뀐다. 마립간은 어떤 뜻일까? 머리 혹은 말뚝을 의미하는 ‘마립’. ‘간’이란 수장이라는 뜻으로 ‘왕 중의 왕’을 의미한다. 그런데 마립간의 ‘간’은 유목민족의 ‘칸’과 의미가 상통한다. 과연 내립마립간 대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 황금 유물과 적석목곽분 그리고 새 토템 왕권을 강화하고 신라의 발전을 이룬 내물왕의 무덤을 경주 고분군들 중에서 가장 큰 황남대총으로 보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그런데 이 황남대총의 독특한 무덤 양식, 화려한 황금 유물들, 그리고 신라 김씨 왕족의 시조 김알지의 탄생설화에 등장하는 새. 이 세 가지는 모두 금을 숭배하고 적석목곽분을 묘제로 사용하며 새를 토템신으로 여기는 유목민족의 풍습과 일치한다. 이를 우연의 일치로 봐야 할 것일까? - 고인골의 유전자 친연성 최근 고인골의 유전자 정보를 가지고 고대 인종들 간의 친연성을 찾아보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라시아 지역의 흉노 무덤에서 발굴된 유골과 우리나라 고인골 간의 연관성을 추적한 결과는 놀라웠다. 인골들간의 상호관계를 실험한 결과 스키타이와 흉노, 신라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것이다. 그렇다면 흉노는 어떤 이동경로를 통해 신라로 온 것일까. 본 프로그램에서는 고조선, 낙랑, 신라로 이어지는 새로운 이동론적 관점을 제시한다. - 흉노‘족’을 넘어 흉노 제국으로 흉노(匈奴)라는 명칭은 중국 중심의 사관을 바탕으로 중국민족을 우위에 두기 위해 흉노의 ‘훈’음에 노비를 의미하는 ‘노’자를 붙여 이들을 비하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었다. 그런데 완벽한 기마전술로 유럽을 제패한 훈과 흉노의 발음이 비슷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같은 집단이었다는 학설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흉노는 그 집단 안에서 여러 종족이 모여 살아있기 때문에 ‘족’을 넘어 하나의 제국을 건설한 정치적 연합체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서양에 등장한 훈족을 서쪽에 있던 흉노가 이동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의문이 풀린다. 훈과 흉노는 문화적으로는 하나의 범주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 학계의 의견이다. 초원의 대제국을 형성한 흉노와 북방 유목민족들. 이들이 잔인하고 약탈을 일삼던 야만족이라는 것은 중국적 관점일 뿐이다. 이제 우리는 중국 중심의 사관에서 벗어나 우리의 뿌리의식을 다시 정립해야만 한다. 신역사스페셜 3회 – 신라왕족은 정말 흉노의 후예인가 (2009.7.18.방송) 🤍
흉노, 훈족 그리고 신라 PART 2로 이어집니다.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 댓글은 좋은 영상을 만드는데 큰 힘이 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흉노 #훈족 #신라
#흉노#훈#투르크족#묵특선우#탱리#윤명철교수#(사)우리역사바로알기 본 강의의 내용은 (사)우리역사바로알기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로마제국의 몰락3편! 세기의 대결! * 1:19 부분 내용을 정정합니다. 훈족의 등장은 3세기가 아닌 '4세기중엽'입니다.(4~6세기활동) * 1:25 부분 내용을 정정합니다. '사해'로 표기된 곳은 '카스피해' 입니다. Sunday Park님 감사합니당. *브리타니아의 이동은 생략했습니다.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아틸라는 434년 형 블레다와 공동통치를 했고, 443년 블레다가 죽고 453년까지 홀로 통치했습니다. *훈족, 반달족, 서고트족, 동고트족, 부르군드족, 프랑크족, 롬바르드족을 제외한 다른 게르만족은 생략되었습니다. *분량조절 실패로 2편으로 이어집니다. 1.게르만족 2.서고트족의 이동 3.알라리크의 로마시 약탈 4.훈족의 로마침입 #게르만족대이동 #서로마제국멸망 #훈족 참고문헌 서양중세사, 집문당. 로마제국 쇠망사 3권, 민음사. 4세기 말~6세기 중반 게르만족의 대이동: 침입인가, 이주인가?, 홍용진. 🤍 🤍 🤍 🤍 🤍 음원 아트리스트 Continent - ANBR Leaving Earth - Stanley Gurvich Courage and Strength - Tilman Sillescu Fire at Will - Tilman Sillescu Vicious Attack - Tilman Sillescu Scape - ANBR 질문이나 각종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퍄퍄킴 이메일 : pyapyakim🤍sandboxnetwork.net 퍄퍄킴 인스타그램 : 🤍 퍄퍄킴 멤버십 : 🤍
참고도서 실크로드 사전 (정수일, 2013, 창비) 유라시아 역사 기행 (강인욱, 2015, 민음사)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김호동, 2021, 사계절) 한국 고대문화의 비밀 (이형구, 2012, 새녘출판사) 유목민 이야기 (김종래, 2005, 꿈엔들) 두산백과 두피디아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00:00 계승자 02:06 [01] 흉노의 기원 (feat. 사마천) 04:52 [02] 흉노 제국의 전성기 (feat. 유방) 09:55 [03] 흉노 제국의 쇠퇴 (feat. 왕소군) 14:31 [04] 흉노와 훈족의 관계 (feat. 절충안) 17:12 [05] 신라 경주 김씨의 흉노기원설 22:49 흉노의 역사적 의미 (feat. 단군)
#흉노#묵돌선우#유목역사 1편 흉노의 영웅 묵돌선우의 파란만장한 이야기와 그의 동호와 월지정벌과정.유방과의 백등산전투 🤍 2편 한무제의 대반격 🤍 3편 흉노의 분열하는 배경과 몰락하는 과정 🤍 /참조/ 위키백과. 나무위키를 참고하여 각색편집한 내용입니다. 영상에 사용된 지도는 참고용이며 지명이나 이름등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BGM ✔️Track - HOMI - Frost virus ✔️YouTube - 🤍 ✔️나눔뮤직 - 🤍 Track : TTRM - 웅장한 느낌의 곡 Music by TTRM (Titanrium) , 🤍 Promoted by 🤍 📢BGM ✔️Track - Alexander Nakarada - Fallout ✔️Soundcloud - 🤍 ✔️나눔뮤직 - 🤍 🤍 🤍 🤍 🤍
동양 최초의 유목제국인 흉노에 대한 기본적인 궁금증을 몇가지 해결해 보았습니다. 1. 흉노의 기원이 중국 북부라는 주장. 2. 흉노의 인종은? 3. 흉노는 유목국가인가, 정주국가인가? 4. 흉노의 최고지배자 '선우'의 뜻 5. 흉노의 서역지배 6. 한나라와의 조공관계 참고문헌) -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김호동 - 위키백과, 나무위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인문학 TV 고경 입니다. 사마천 사기 열전 중에서 흉노열전 첫 편입니다. 목차 1. 흉노의 근원과 생활 문화 -. 흉노의 뿌리와 호칭 -. 유목민의 특징 2. 역사 시기별 흉노와 관계 -. 하은주 시대 흉노와 관계 -. 춘추시대 각 제후국과 흉노와 관계 -. 전국시대 각 제후국과 흉노와 관계 -. 통일 진나라와 흉노와 관계 흉노에 관한 자료나 기록, 유물 등이 충분하지 않아 어느 누구도 흉노에 대한 확실한 주장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들의 터전은 유라시아 북방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유목 생활을 한 부족 집단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조상도 투르크계 인지 몽고계 인지 단정해 말할 수 없다. 그리고 흉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이유는 그들에게는 언어는 있으되 문자가 없어 그들 스스로 기록한 기록물이 전하지 않고, 다만 문자를 사용하던 주변 왕조국, 예를 들어 한나라 사마천의 기록으로 전해 내려온다는 것이고 이역시도 한나라의 시각과 관점으로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사마천이 흉노라는 호칭을 써서 흉악한 천민이라는 의미의 오랑캐라는 표현이지만 북방민족을 오랑캐로 여긴 것은 어디까지나 오래전부터 세상에는 중국밖에 없다는 중화사상에 빠진 중화인들의 편견 때문이다. 북방 유목민들은 분명 정착 농경민과는 다른 생활방식을 채택한 사람들이지만 결코 야만인은 아니었다. 그 증거로 당시 북방 유목민들은 기마술과 야금술 및 금속가공 기술은 고대 중국인들보다 앞서 있었다. 최근 신라의 문무대왕 비석에서 신라 왕조의 시조가 한나라 무제 때 흉노족에서 귀화한 김일제가 신라의 시조라는 해석을 하고 있고, 고조선 역사를 기록한 환단고기에서는 아예 흉노의 시조는 한민족이며 흉노의 지도자인 선우라는 표현은 단군을 의미하며 고대 고조선과 한반도는 흉노와 같은 뿌리라는 주장이 있다. 이와 같이 흉노에 대한 다양한 주장에도 분명한 것은 언어학적으로 분류하면 우리는 북방에서 한반도까지 이동해 온 우랄알타이계라는 주장이 가장 명쾌한 결론에 이르게 될 것이다. 현재는 중앙아시아에서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목민 집단 연합체가 흉노였다는 것이 대체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사마천 #사기역사서 #흉노
과거없는 미래는 없다. 역사는 반복됩니다. 감사합니다. 고유 채널 : youtube.com/🤍Kuriltai 쿠릴타이 채널 : youtube.com/channel/UClk2Rs81ugcyUNmWB721SJg 쿠릴타이 메일 : taeshinpark3008🤍gmail.com
#고구려 #광개토태왕 #장수왕 #아틸라 #훈족 #koreanhistoryyoun 고구려는 4세기 후반부터 전성기를 맞이했다. 특히 광개토태왕이 즉위하고 장수왕이 돌아가기 까지 100년은 절정기였다. 이 시기 동아시아에서는 고구려와 친연성이 깊은 선비족이 중국북부지역과 몽골고원을 장악했고, 유럽에서는 역시 고구려와 관계가 깊은 투르크계인 훈족이 팽창했고, 아틸라 시대에는 로마를 공격하며 유럽을 석권하기 직전까지 갔었다. 이러한 국제관계는 고구려가 강국이 되는데 유리한 요소로 작용했다.
에스케 빌러슬레프 덴마크 코펜하겐대 지리유전학센터 교수팀은 약 4500∼1500년 전 사이의 중기 구석기∼신석기 시대 인류 137명의 유골로부터 게놈을 추출, 해독해 10일자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서쪽으로는 헝가리, 동쪽으로는 중국 북부 몽골과 바이칼호 근처까지 약 8000km 지역에 걸쳐 있던 아시아 스텝(초원) 지대의 옛 인류 게놈을 분석했다. 이들의 게놈 속 DNA가 얼마나 서로 비슷하고 다른지를 비교해, 각 지역 인구집단의 관계와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 식이다. 연구 결과 기원전 8세기경부터 지금의 이란을 중심으로 동유럽과 러시아 남부를 지배한 스키타이인은 신석기 시대 유럽의 농민 인구와 시베리아 남쪽의 수렵채집인, 청동기 시대 말기의 목축인들이 섞여 탄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이후 동쪽 아시아에서 온 유목민인 흉노족과 섞였고, 기원전 2∼3세기쯤 유럽으로 동진하기 시작했다. 이들이 기원후 4∼5세기경에는 훈족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훈족과 중국 흉노족이 같은 종족인지 논쟁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로 적어도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과거없는 미래는 없다. 역사는 반복됩니다. 감사합니다. 고유 채널 : youtube.com/🤍Kuriltai 쿠릴타이 채널 : youtube.com/channel/UClk2Rs81ugcyUNmWB721SJg 쿠릴타이 메일 : taeshinpark3008🤍gmail.com
지난 영상인 흉노, 훈족 그리고 신라 PART 1~14도 시청 부탁 드립니다.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 댓글은 좋은 영상을 만드는 데 큰 힘이 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0:00 인트로 00:07 울딘 05:08 아틸라 09:56 아틸라의 갈리아 원정 16:47 아틸라의 이탈리아 원정 20:54 아틸라의 죽음 22:22 훈제국 붕괴 23:31 훈족의 후예 24:13 서로마제국 멸망 24:23 아틸라의 두 얼굴 25:59 의의 27:34 흉노(남흉노)의 후예 33:20 흉노 무덤 발견 33:48 마치며 [배경음악] Track : Awakening Composer : 눈솔 Watch : 🤍 #아틸라 #훈족 # 흉노
한나라를 떨게한 흉노, 선비, 거란, 여진, 몽골, 만주족까지 북방을 호령한 유목민족의 역사 즐감하세요. :) #흉노 #선비 #돌궐 #거란 #여진 #몽골 #원나라 #만주 #청나라
서기 370년 서방에 홀연히 출현한 훈족(Huns)! 그들이 동방의 흉노(Xiongnu)에서 기원됐다는 훈족 흉노 기원설에 대한 유전학적 탐구! * 참고 문헌 [1] Damgaard, P. B.; et al. "137 ancient human genomes from across the Eurasian steppes," Nature, April, 2020. [2] Green RE, et al. "A draft sequence of the Neandertal genome," Science, 2010 May. [3] Choongwon Jeong et al. "A Dynamic 6,000-Year Genetic History of Eurasia’s Eastern Steppe," Cell, Volume 183, Issue 4, 2020. #변두리역사 #흉노역사 #훈족역사
시청하시고 유익하셨다면 구독하기를 눌러주세요^^ STB 상생방송) 인간의 길 가효국충 40회 로마제국의 멸망 2부 김현일 박사 풀영상 다시보기 🤍
바람의 제국을 가다 1부_운명을 바꾼 유목민 흉노
흉노제국의 흥망성쇠를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모든 멘트는 [튀르크인이갸기]와 위키백과, 나무위키를 참고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참고문헌) - 튀르크인이야기. 이희철. - 처음읽는 터키사. 전국역사교사모임. BGM) Kevin MacLeod의 Crusade - Video Classica은(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 따라 라이선스가 부여됩니다. 출처: 🤍 아티스트: 🤍
This video shows the history of Huns from 360s to 469. 본 영상은 (360년도~469년) 훈족의 역사를 알려드립니다. Music: Total War - Attila main theme #romanempire #huns #history #mapping #로마제국